DOCS
home

1주차 가이드

2 more properties

주제와 큰 카테고리 결정하기

생각해둔 주제를 점검 & 결정하고 큰 카테고리를 정리합니다.

주제 점검 & 결정하기

이미 주제는 어느 정도 정해졌겠지만, 그 주제를 한번쯤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동안 덕스페이지들이 만들어지면서, 처음 결정한 주제 그대로 덕스 페이지가 완성된 경우도 있었지만, 처음과는 다른 주제로 바뀌거나 큰 범주에서는 동일하지만 방향성을 바꾼 경우들이 있었거든요. 콘텐츠 작성을 시작한 이후에도 주제 수정이 가능하지만, 그렇게 되었을 때의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능한 부분들은 미리 점검해보는 것이 좋겠지요.
그 주제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을 다룰 수 있을지, 또 어떤 형식으로 어떻게 만들지 등을 시뮬레이션해보면서, 그리고 아래 저희 나름대로 정리해둔 포인트들을 참고하시면서 덕스 페이지 주제를 결정해주세요.

카테고리 정하기

주제를 정하고 난 다음에는 페이지를 구성할 가장 최상위 레벨의 카테고리를 4~6개 정도 생각해봅니다. 카테고리를 정리하는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내 주제와 목적에 가장 맞는 방식을 고민해보면 좋아요.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하기
시간 순서 기준으로 정리하기
분류/그룹핑을 통해 정리하기
장소(지리)를 기준으로 정리하기
질문이나 문제 중심으로 정리하기
큰 카테고리를 처음부터 하나로 확정하기보다는 다양하게 생각해보고, 카테고리의 네이밍도 다양하게 생각해보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 다양한 옵션들을 추후에 하위 카테고리나 내용을 목차화해서 정리할 때 활용할 수 있으니까요.
구체적으로 기존의 덕스 페이지들은 대략 이런 방법으로 도출되었어요.
1.
(세부 내용에 대해서 굳이 생각해보지 않고) 직관적으로 특정 기준이나 순서에 따라 카테고리 나눠보기
2.
세부 콘텐츠들을 리스트업해본 다음 그룹핑하면서 상위 카테고리 도출하기
세부 콘텐츠들을 내 생각대로 마구 떠올려보고 취합한 후 카테고라이징
관련 서적의 목차와 내용 정리하여 취합한 후 카테고리로 묶어보기
연관 키워드를 참고하면서 카테고리 구성해보기
관련된 다른 콘텐츠들을 되는대로 리스트업한 후 카테고리로 묶어보기
3.
다른 다른 채널이나 플랫폼의 카테고리 참고하기
예를 들어 서울 댕댕플레이스의 경우 아래와 같은 식으로 다양한 카테고리 구분 방식들을 생각해봤고, 이 내용들을 다듬어나가면서 카테고리를 정했어요.
예) 서울 댕댕 플레이스
콘텐츠 기능/순서 - 페이지 소개, 공간 추천&큐레이션, 장소 리스트, 제보하기
장소 종류 - 애견동반카페, 애견동반식당, 애견카페, 공원, 놀이터, 수영장, 숙소, 교육공간 등
장소 방문 목적 - 지인 만남, 강아지 사교모임, 강아지 교육, 그루밍, 병원진료, 숙소, 호텔링, 용품구입처 등
강아지 나이별 - 1살 미만에게 적합, 노령견에게 적합 등
강아지 성격별 - 소심한 강아지, 발랄한 강아지 등
일반 고려요소 - 실내 동반 가능여부, 실내외공간 여부, 케이지 필요여부, 리드줄 필요여부 등
특수 상황 - 대형견 동반가능여부, 5차 접종전 사회화, 여름/겨울 산책대용 등
소주에 관한 모든 것 페이지의 경우에는 소주와 관련된 서적 및 기타 콘텐츠들의 목차와 내용들을 정리한 후에 다양한 방식으로 그룹핑하고 네이밍해보면서 수정해나갔습니다.
필요한 분들을 위해 목차 페이지를 정리할 템플릿을 아래 만들어두었으니 자유롭게 사용하세요.

첫 페이지로 돌아가기